감정의 레이어: Emotional Layer
박은경 큐레이터 EUNKYUNG PARK / CUBE Museum Curator
2022
Since 2015,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has been discovering promising young artists in the region and supporting them by organizing solo exhibitions at the Seongnam Cube Art Museum through the Seongnam Young Artist Exhibition. Now in its eighth year, the Seongnam Young Artist Exhibition serves as a solid stepping stone for the growth of emerging artists in the area, while also offering citizens opportunities for empathy and communication through art. The young artists who have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have gone on to be recognized for their artistry both at home and abroad, continuing their active creative practices.
In 2022, Seongnam Cube Art Museum presents its first Seongnam Young Artist Exhibition, “Emotional Layers”, featuring the work of emerging artist Jungwon Phee. Phee is known for sensuous abstractions dominated by black across large canvases. The visual force and emotional weight of these expansive black grounds invite viewers to wonder about the narratives embedded within the work. Phee’s paintings always begin with black. Evoking an unfathomable abyss, black symbolizes the artist’s own “ego,” from childhood to the present. By combining meok (traditional East Asian ink) with black gesso, the foundational ground of Western painting, Phee has created a unique black imbued with her own identity. Having lived for years as a foreigner while studying in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she continually questioned the nature of the self. Out of this struggle to express her presence and identity as an artist emerged the materials of meok and black gesso. Using these as symbols of identity, Phee forged her own black, visualizing the memories and emotions contained within through restrained black fields.
Phee’s work is rooted in Abstract Expressionism and Minimalism, movements that expanded in New York. The planar qualities and demarcated sections common to the so-called “New York School” of painters such as Mark Rothko and Barnett Newman are echoed in Phee’s work. Expansive planar compositions and clearly defined areas spatially adjusted on the canvas exemplify this. Her series contrasting black planes with the material luminosity of gold overlaps with Minimalism’s emphasis on objecthood, while also employing dripping, a technique central to Abstract Expressionism. Recurring motifs across Phee’s works include blackness and fissures. Over the black grounds, rectangular shapes and brushstrokes charged with intense matière emerge. To address the material’s properties and the incompleteness of memory, she repeatedly overpaints the fissures in multiple layers. This sustained overpainting is a visual practice aimed at making the unconscious whole, achieving a final “synthesis” through reinterpretation by the viewer.
Although each work contains deeply personal experience, Phee deliberately avoids overt disclosure, instead encouraging immersion in pure abstraction. By often titling her works Untitled, she enables viewers to form new interpretations through their own perceptions and experiences. Her black, which expresses a deep abyss, carries her stories within a restrained pictorial field. Her signature series was inspired by cave paintings she encountered while traveling in Mexico. As humanity’s first artistic expression and the origin of painting, cave art captured private human desires in a primal form. Artists have long been drawn to such works, which employed materials like stone and earth gathered from the surroundings. In parallel, Phee draws upon the events and emotions of her daily life as the primary substance of her art.
Phee is a researcher as much as an artist. Like an alchemist, her notebooks are filled with records of material experiments. She mixes cement powder, oil, and acrylic paint, adjus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to study how cracks and blurs change, repeating the process until she achieves the desired visual result. The thickness of the matière, the fissures, and the degree of diffusion that distinguish her paintings are the outcomes of this meticulous research
.
This exhibition marks the first time Phee’s work has been presented in a Korean museum. It brings together her current series including The Black Path, Future, and Line alongside early works created during her studies in New York. Also featured is the new archival piece Archival Painting VI, in which she transforms her research on materials into another work of art, as well as her “after-image” series Untitled: After-Image III and Untitled: After-Image VIII which recreate the same event at different moments in time. Together, these works offer an immersive experience of the pure abstraction Phee seeks.
Rejecting the so-called “pretty” art that pursues only visual perfection and beauty, Phee strives for fundamental, primal, and pure abstraction. This serious attitude toward painting is what makes her an artist to watch. Through this exhibition, the museum hopes visitors will encounter Phee’s black abstractions in quiet contemplation and, in doing so, reflect on the “emotional layers” of their own lives—the memories and experiences stacked within.
“Art does not reproduce the visible; rather, it makes visible.”
— Paul Klee
성남문화재단은 지역의 전도유망한 청년작가를 발굴하고, 성남큐브미술관에서의 개인전 개최 지원을 통해 청년작가를 응원하는 성남청년작가전을 기획해오고 있다. 2015년을 시작으로 올해 8년째를 맞이한 성남청년작가전은 지역 청년작가들의 성장을 위한 든든한 디딤돌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시민들에게는 예술을 통한 공감과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성남청년작가전을 거쳐 간 청년작가들은 국내외 미술계 현장에서 예술성을 인정받으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 가고 있다. 성남큐브미술관은 2022년 첫 번째 성남청년작가전으로 <감정의 레이어: Emotional Layers>를 선보인다. 이번 전시의 주인공인 청년작가 피정원은 캔버스를 가득 채운 검은색을 주조로 하는 감각적인 추상을 그려내는 작가이다. 커다란 캔버스 가득 칠해진 검은 바탕이 주는 시각적인 힘과 정서적 중량감은 작품을 바라보는 감상자들에게 작품에 얽힌 서사가 무엇일지 궁금증을 자아낸다. 피정원의 회화는 늘 검은색으로 시작한다.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심연을 연상시키는 검정은 유년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작가 본인의 ‘자아(Ego)’를 의미한다. 작가는 동양화의 기본 재료가 되는 먹(墨)과 서양화의 바탕인 블랙 젯소(Black Gesso)를 혼합하여 자신만의 정체성이 담긴 고유한 검정을 탄생시켰다. 캐나다와 미국에서 오랜 유학 생활로 타지에서 이방인으로 살아온 그는 ‘나’라는 주체에 대해 항상 고민했다. 작가로서 자신의 존재와 정체성을 어떻게 표현할 것 인가 치열한 고민 끝에 발견한 재료가 바로 먹과 블랙 젯소이다. 작가는 자신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재료인 먹과 블랫 젯소를 활용하여 고유의 블랙 컬러를 만들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내면에 담긴 기억과 감정을 절제된 검은 면으로 시각화하였다.
피정원의 작업은 뉴욕에서 확장된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와 미니멀리즘 (Minimalism) 회화 사조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마크 로스코(Mark Rothko), 바넷 뉴먼(Barnett Newman) 등 소위 ‘뉴욕 스쿨(New York School)’ 출신 추상회화그룹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평면성과 평면성의 구획 요소들이 피정원의 작업에서도 조금씩 엿보인다. 확장적인 평면 구성, 공간적으로 조정된 캔버스 위의 명확하게 구획된 면들이 바로 그것이다. 피정원의 작업 중 검은 평면과 대비되어 황금의 물질성이 돋보이는 시리즈는 사물성(objecthood)을 전면적으로 드러내는 미니멀리즘 경향이 오버랩 되고 있으며, 시리즈는 추상표현주의에서 빼놓을 수 없는 드리핑(dripping) 기법을 활용한 작업이다. 피정원의 작품마다 공통으로 보이는 도상적 특징은 검은색과 균열이다. 작품의 검은 여백 위로는 사각형과 같은 도형과, 강렬한 마티에르(Matière)가 느껴지는 선의 붓질이 등장한다. 또한 그는 재료의 특성과 기억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균열 위에 여러 겹의 지속적인 덧칠을 한다. 지속적인 덧칠은 무의식을 완전하게 만들고자 하는 작가의 시각적 실천이며, 이는 감상자에 의해 재해석되는 과정을 거치며 비로소 완전한 ‘합(合)’을 이루게 된다.
피정원은 하나의 작품을 창작할 때 늘 개인적인 경험을 담는다. 하지만 그것을 전면에 드러내지 않는 방법을 취하며 온전한 추상으로의 몰입과 감상을 유도한다. 실제로 대부분의 작품에 라는 제목을 사용함으로써, 그의 작품은 감상자의 시선에서 개별적인 인식과 경험을 거쳐 새로운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깊은 심연의 세계를 표현한 피정원의 블랙은 절제된 화면 안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피정원의 시그니처 작품인 시리즈는 작가가 멕시코 여행에서 목격한 동굴 벽화를 통해 창작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 동굴벽화는 인류의 첫 미술적 표현이자 회화의 기원이다. 인간의 사적인 염원을 원시적인 회화의 형태로 표현했다는 점에서 동굴벽화는 많은 미술가들이 주목했으며 벽화에 사용된 미술 재료는 돌과 흙처럼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였다. 피정원 또한 자신의 일상에서 느낀 사건과 감정들을 작업의 주재료로 삼고 있는 점에서 동굴 벽화와 그 맥을 같이한다.
피정원은 연구하는 작가이다. 마치 연금술사를 연상시키는 그의 작업노트에는 재료에 대한 실험 기록으로 가득 차 있다. 자신이 시각적으로 원하는 결과가 도출될 때까지 시멘트 파우더와 오일, 아크릴 물감 등을 배합하고, 온도와 습도에 변화를 주며 달라지는 균열과 번짐의 정도를 연구한다. 작품마다 돋보이는 마티에르의 두께감과 균열, 번짐의 정도까지 모두 치밀한 연구 끝에 완성된 결과물인 것이다.
이번 전시는 청년작가 피정원의 작품을 국내 미술관에서는 처음으로 선보이는 전시이다. <The Black Path>, <Future>, <Line>시리즈 등 작가가 현재 주력하는 시리즈 작업들과 뉴욕 유학 시절 창작된 초기 작품이 함께 전시된다. 또한 작품에 사용되는 재료를 연구하여 또 다른 작품으로 승화해낸 아카이브 성격의 신작 <Archival Painting VI>를 비롯하여, 작가가 경험한 동일한 사건을 시간차를 두고 재현한 시리즈 작품인 <Untitled: After-Image III>, <Untitled: After-Image VIII>가 최초로 함께 공개되며 청년작가 피정원이 추구하는 온전한 추상으로의 몰입 경험을 제공한다.
피정원은 시각적인 완벽성과 아름다움의 조합만을 표방하는 소위 ‘예쁜’ 미술을 경계하며, 근본적이고 원초적인 순수한 추상미술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작업에 임한다. 이렇듯 회화에 대한 진지한 태도가 청년작가 피정원이 기대되는 이유이다. 이번 전시를 계기로 미술관을 찾은 사람들이 피정원의 검은 추상을 고요히 마주하며, 저마다 자신의 마음 속 ‘감정의 레이어’는 어떠한 경험과 기억으로 층층이 쌓여있는지 한번쯤 들여다볼 수 있는 사유의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예술의 기능은 ‘보이는 것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보이게 하는 것’이다.”
- 파울 클레(Paul Kl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