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Exhibitions

“Phee has developed into a mature, talented artist. Materiality of built up surfaces and textures was what intrigued him most and he would sculpt then paint and draw on the top surface creating rich large scale physical drawings that revealed the artist’s hand. He turned his works into emotionally charged statements of pure energy. The large scale monochromatic works had a monumental spirit about them that was arresting. Phee is headed towards a promising future.”

“작가는 성숙하고 재능 있는 예술가이다. 질감 표현에 의한 물질성은 그를 가장 흥미롭게 하는 것이다. 그는 조각, 회화,소묘 등으로 작가의 직접적인 손길이 느껴지는 풍부한 스케일의 작업을 탄생시켰다. 그는 그의 작품을 순수한 에너지가 내재한 감정적인 표현으로 변환하였다. 큰 스케일의 단색 작품들은 기념비적인 정신을 지니고 있는 매력적인 작업이다.

그는 미래가 유망한 작가임이 분명하다. 

Nanette Carter (American artist, professor)

나네트 카터 (미국 아티스트, 교수)

<합(合): Confleunce>

2022. 10. 27 - 2022. 12. 09

Seojung Art Gangnam, Seoul

Jungwon Phee expresses the hybrid of his experiences and emotions derived from those experiences by abstracting them in black on the canvas. Phee places his mem - ories from his deep self in the cracks and curves of densely piled-up, black matière. Phee’s first solo exhibition with Seojung Art examines the past and the present of his Untitled series, covering from its bedrock (After Image, 2017~) to the latest de - velopments (Untitled: Black Path)

피정원은 삶에서 축적된 경험과 그 경험에서 파생된 감정을 융합하여 캔버스 위 검은 추상으로 표현해왔다. 깊숙한 내면의 기억들이 검은 여백 속에 켜켜이 쌓아 두터운 마띠에르의 균열과 굴곡으로 형상화 된 것이다. 이번 전시는 서정아트에서 선보이는 작가의 첫 번째 개인전으로, 시리즈의 근간이 되는 (2017-)에서 출발하여 확장된 현재의 까지 이어지는 서사를 풀어낸다.

Yeajin Scarlett Lee (Seojung Art Director)

이예진 (서정아트 디렉터)

<피정원: 감정의 레이어 Emotional Layers>

2022. 02. 04 - 2022. 03. 20

Seongnam Cube Museum

성남문화재단(대표이사 노재천)이 지역의 역량 있는 청년작가를 발굴·지원하는 ‘2022 성남청년작가전’의 첫 번째 전시로 피정원 작가의 <감정의 레이어 : Emotional Layers>를 오는 2월 4일(금)부터 3월 20일(일)까지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성남청년작가전’은 성남지역의 청년예술가를 발굴하고 전시 공간 지원 등을 통해 창작활동의 고민을 분담하기 위해 기획된 지역 예술가 지원 프로그램이다. 재단은 지난 2015년 성남큐브미술관 내 반달갤러리 조성을 시작으로 올해로 8년째 지역 청년작가들의 건강한 창작 활동을 위한 환경 조성과 함께, 시민들을 위한 예술적 공감과 소통의 길을 확대하고자 노력해왔다. 올해 첫 번째 청년작가로 소개되는 피정원 작가는 캔버스를 가득 채운 검은색의 절제된 화면 안에 자신의 이야기를 담아낸다. 깊이를 알 수 없는 심연을 연상시키는 검은 배경은 작가의 유년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자아를 의미한다. 작가는 동서양화 회화의 기본 재료인 먹과 블랙 젯소를 활용해, 캐나다와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며 이방인으로 살아온 본인 내면에 담긴 기억과 감정을 검은 화면으로 시각화 한다. 작품에는 검은 여백 속에 균열과 굴곡으로 이루어진 마티에르(Matiere, 질감)가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작가는 시멘트 가루와 오일, 아크릴 물감 등 다양한 재료를 연구하고, 재료의 조합과 지속적인 덧칠 작업으로 만들어진 겹겹의 층을 통해 내면 의식과 감정을 추상적으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작가의 대표작인 시리즈를 비롯해, , 시리즈 등 현재 주력하고 있는 추상 작업 25점을 만나볼 수 있다. 특히 작품에 사용하는 재료를 연구해 또 다른 작품으로 승화해낸 신작 와 표현 기법에 대한 작가의 실험적인 역량과 고민이 집합된, 시리즈가 최초로 공개 될 예정이다. 

<The Paths>

2022. 06. 14 - 2022. 07.17

The Untitled Void

디 언타이틀드 보이드는 피정원의 개인전《The Paths》를 6월 14일부터 7월 17일까지 개최한다. 본 전시는 디 언타이틀드 보이드와 피정원 작가가 함께하는 두 번째 개인전으로 14점의 신작을 포함한 20여 점을 엄선하여 조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피정원은 사적 경험과 심상을 지극한 연구아래 추상적으로 시현한다. 작업의 시작에는 매양 검정이 자리하는데 동양의 먹과 서양의 블랙 젯소의 합으로 구성되어 작품의 배경이자 그의 내면세계 그 이상을 대변한다. 여러 연작에서 작가는 본인의

이야기를 적합하게 확장 시킨다. 대표적인 연작 <The Black Path> 는 과거에 대한 해석이 짙으며 먼 과거일수록 검정배경이 많이 차지하고 유광의 검정은 특정기억에 묶여 있는 것을 뜻한다. 이와 함께 <Crystal> 은 과거의 감정을 취급한 <The Black Path> 와 이어지고 미래지향적 기대감이 더해진 연작이다. 지난 3월에 디 언타이틀드 보이드에서 진행한 《꽃샘바람》展에서 선보였던 <Future>와 <Past> 는 맥이 통하지만 상반된 개념인데, 금빛으로 드러난 도상이 돋보이는 <Future>에는 주관성이

내포되고 <Past>는 객관적 경험과 각성을 이야기하며 산화된 청동이 주를 이룬다.

작가는 연작마다 현현한 묘사를 위해 소재를 고찰하는데 시멘트 파우더와 오일, 아크릴 등을 배합하여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지는 균열과 번짐 반응을 각근히 노트한다. 이 과정은 <Archival Painting>연작에서 노출되는데, 연구일지와 유사한 꼴로 과정을 흥미롭게 시각화하며 그의 작품이 비우연적 추상이고 완연함을 띠는 이유를 논증한다.

그는 본원적 추상과 미니멀리즘을 지향함과 동시에 관람객에게 일편지견된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모든 작품을 ‘Untitled’라 명명한다. 작품을 바라보는 첫인상 혹은 각자의 관념과 감정을 대입해 보면서 임의롭게 누릴 수 있도록 놓아준다. 본 전시《The Paths》는 근경과 원경 모두에서 느껴지는 밀도 높은 작품으로 관람객에게 시간을 들여 감상하고 자유롭게 해석하는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2022 젊은 작가전: Pith of Cake>

2022. 05. 19 - 2022. 08. 20

Korean Cultural Center in Hong Kong 

주홍콩한국문화원은 5.19(목)부터 7.16(토)일까지 문화원 6-7층 전시실과 온라인을 통해

《2022 한국 젊은 작가전: Pith of Cake》 전시회를 개최한다.

 

문화원에서 개최하는 <한국 젊은 작가전> 시리즈는 한국의 유망 젊은 작가를 세계 미술시장의 거점인 홍콩에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올해 5회째를 맞이했다. 과거 전시와 달리 2022년 전시는 2021년 문화원 주최 제1회 전시공모전을 통해 당선된 지희킴, 이영호, 피정원, 송명진 작가 4인의 그룹전으로 진행된다.

 

전시 제목의 케이크(Cake)는 외면으로 드러나는 시각적 표면을 의미하며, 피스(Pith, 핵심)는 시각 예술로 표현되는 작품 속 함축된 메시지를 뜻한다. 광둥어 전시 제목은 ‘함축적 순간’으로, ‘간결하나 함축적인’이라는 뜻이 있는 피시(Pithy)라는 단어 역시 네 작가를 연결하는 키워드이다. 작가들은 너무 많은 것을 화폭에 담아내려고 하지 않는다. 하지만 그 간결함에는 함축적인 핵심이 있으며, 이와 같은 결과물을 추구하기 위한 작가들의 매체 탐구와 작업 방식 또한 간단하지 않다.

피정원 작가는 동양과 서양의 재료를 혼합하여 독창적인 물성을 시도한다. ‘무제: 검은 길’ 시리즈에서 작가는 동양의 ‘먹’과 서양의 ‘블랙 젯소’를 합한 독유의 검정을 창조하여 배경을 제작한다. 이 독특한 질감의 우주와 같은 검정은 배경인 동시에 작품의 주 요소이다. 검정 색상 외에도 작품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열, 결합, 용매 등 인위적 화학처리를 통해 많은 요소들이 결합된다.

<Rupture>

2020. 11. 10 - 2021. 01.10

The Untitled Void

Jungwon Phee’s artistic practice is one with precisely articulated and mapped conceptual underpinnings: the titular “path” of the series is an exploration of the ego; the black backgrounds represent the conscious “I”; the symbolic figures of layered matière express a palimpsest of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And then there are the questions of time, of memory and forgetting and (de)construction. A rupture can be many things: a breach in trust, a broken surface, a fracture in time, a disjunct identity. The world and the mind have countless mechanisms of disconnect that sever what was once one into two. Each painting in Rupture is a summons to enter, with intention, into this space and time outside of space and time.

As adaptation — on every scale, from the individual to the communal to the global — is becoming necessary in ways and to an extent previously unforeseeable, Phee seeks an existential aesthetic comprehensive enough to embrace all. On the walls of The Untitled Void these untitled combinations of black gesso and meok (traditional ink) are portals into presence, singular and complete.

피정원의 작품세계는 정밀하게 연계된 구상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시리즈 제목의 “길”이란 근본적 에고(ego)의 탐구를 가리키며, 검정 배경은 본인의 자아를 뜻하고, 여러 레이어의 마티에르(matière)로 이루어진 기호적인 도형은 주관적인 의식과 경험의 다층적인 구조를 표현한다. 또한 작가는 항상 시간, 기억, 망각, 그리고 (디)컨스트럭션 – 즉, 구성과 해체 – 에 대한 고민도 하고 있다. 영문으로 “럽쳐”(rupture)란, “파열”의 뜻으로 여러 상황에 적용된다. 믿음의 단절, 화면의 결궤, 시간의 끊김, 정체성의 괴리. 한때 하나였던 무언가를 두 개로 분리하는 기제는 세상에도 마음에도 수없이 많다. 전시 Rupture의 작품 하나 하나는 관객을 이러한 시공간 밖의 시공간에 의도적으로 입장하도록 소환한다. 개인적, 사회적, 세계적 차원에서 여러모로 ‘적응’이 불가피해지고 있는 지금, 피정원 작가는 이 모든 것을 포괄할 수 있는 실존적 미학을 찾는다. “디 언타이틀드 보이드”에서 보는 그의 제목 없는 작품들은 각각 검은 먹과 블랙 젯소로 만들어진 단일의 문이다 – 현존 속으로.

<Mind·full·ness>

2022. 09. 01 - 2022. 09. 30

Villa de Parnell

Celebrating the emergence of Korea as a global art hub,Mind·Full·Ness exhibition invites its guests to discover new ways of experiencing Korean art, through an immersive, multi-sensory environment which includes an activation of the senses beyond the solely visual response, engaging with light, scent, and sound.

Featuring over 35 artists working across mediums of painting, sculpture, ceramics, installation and multi media art, the exhibition becomes an open invitation into the various declinations of envisioning artistic practice as an act of meditation. Filling and emptying, concepts that sit at the core of eastern philosophies, are skilfully and poetically re-elaborated through every artist’s way of seeing and creating.

We’re pleased to present over 100 cross-generational works, from site-specific installations, to the presentation of Dansaekhwa masters, and ambitious projects of young talents, all exhibited within the mesmerising architecture of Villa de Parnell.

<관계망: CONNECTWORKING>

2022. 07. 29 - 2022. 08. 28

Seojung Art Gangnam, Seoul

One of the defining paradoxes of today lies in feeling disconnected from the densely populated city around us in the era of unprecedented connectivity. Kwankyemang: Connectworking directs our attention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today’s society.   As the title of the show implies, the show seeks to explore how the interactions among the ideas of community, connectivity and communication are reflected in the diverse ways we relate to each other on both individual and collective levels.   As we navigate our way out of the time of social-distancing and contact-tracing, we invite the works of eight artists to come together, interact and connect. Kwankyemang: Connectworking   proposes a renewed meaning of connectivity and connection.  

현대 사회는 발전된 기술과 시스템을 통해 그 안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복잡한 인구밀도 속에서 역설적이게도 외로움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관계망:Connectworking>展은 현대 사회 안에서 사람들 간의 관계 그리고 소통에 주목했다. 주로 사람들 간의 사회적 연결망을 설명할 때 쓰이는 단어인 ‘관계망’, 그리고 연결과 소통을 뜻하는 connect와 network의 합성어인 ‘Connectworking’이라는 단어를 통해 현대 사회 속에서 맺어지는 사람들 간의 다양한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주목하고자 한다. 사람들 간의 거리 그리고 접촉이 더욱 중요한 화두에 오르게 된 최근, 8인의 작가들의 작품이 한 공간에서 만나 서로 상호작용하며 연결되는 모습 또한 또다른 관계망의 형성인 것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현대 사회 환경 속에서 주변화된 존재들에 집중하고 연결과 관계의 의미를 다시 되새기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Emptiness and Fullness>

2022. 03. 03 - 2022. 04. 08

Seojung Art Busan

Seojung Art is pleased to present Emptiness and Fullness, featuring the works of artists Byen Ungpil and Phee Jungwon, as the first exhibition for Seojung Art Busan in 2022. In this exhibition, a portrait artist Byen Ungpil and an abstract artist Phee Jungwon present works that are created with each artist’s own unique techniques but that are also absent of any direct clues of any obvious messages from the artists. The two artists try their best not to leave their own imprints on their artworks, so as to leave it completely up to the viewer to determine the meaning in each work. Artist Byen is known for his painted portraits of men using minimal line work to express their shapes and features, while Phee is known for using ink and black gesso to portray cracks and curves. Although each artist shows distinct shapes for the characters or abstract figures in their paintings, they both refrain from directly revealing the messages of their artworks as much as possible. Life is like a stack of papers that is created as a result of making various choices and elements, accumulated atop one another from different directions, rather than being set in a definite order. In a similar manner, it is hoped that the appreciation of the artworks felt by each viewer adds another layer to each canvas that is filled with the artist’s life and experiences, creating a much richer experience for all. 

서정아트는 2022년 부산점에서 선보이는 첫 기획 전시로 변웅필과 피정원의 2인전 '비움과 채움 : Emptiness and Fullness'展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에 참여하는 인물화 작가 변웅필과 추상화 작가 피정원은 자신만의 기법으로 캔버스를 채우지만, 작가의 메시지가 드러나는 직접적인 단서를 비워낸다. 두 작가는 작품 감상의 주체를 온전히 관람자의 몫으로 두고자 캔버스위로 작가의 그림자는 최대한 드러내지 않으려 노력한다. 형체와 이목구비를 최소한의 선으로만 표현하여 남자의 초상을 그리는 변웅필과 먹과 블랙 젯소를 사용해 균열과 굴곡 있는 형상을 만들어 내는 피정원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두 작가 모두 분명하게 형태를 갖춰 인물이나 추상적인 형상들로 캔버스를 채워냈지만, 그 형상에 담은 작가의 메시지가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최대한 절제한다. 삶은 정해진 방향대로 흘러가기보다는 여러 갈래의 방향으로부터 다양한 선택과 요소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완성되는 결과지와도 같다. 예술도 마찬가지로, 작가의 인생과 경험이 가득 찬 캔버스에 관람자의 감상이 더해진다면 한층 더 풍부한 경험이 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