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he ‘Untitled: Black Path’ series of my works consists of a black background, symbolic figures, deep and shallow cracks and bends, and numerous layers. Its goal is to achieve the most fundamental, primitive, and pure abstraction possible, with an emphasis on abstract expressionism and minimalism. The black background of the work represents my personal meaning (refer to below: visualization of being) and the direct visual act that closes the audience’s eyes at the same time. I use the method of watching the abstract work, as if the audience were imagining themselves, watching the work, which, of course, also applies to the watching of my work as well.

1. Visualization of being – Black background: The color that primarily constitutes the background, black color, is the aggregate of ‘Korean Ink: Muk’ of the East and ‘Black Gesso’ of the West. One’s self is represented by the combination of subjective elements, ‘Muk’ and basic and fundamental elements, ‘Black Gesso.’ Moreover, it includes us all in the ontological aesthetics of individuals, including myself, who should inevitably exist, adapting to today’s diverse societies.

2. Time and space – Symbolic figure: Lines and various figures represent ‘space-time’ that is space (experience), fair to all and time (memory) that is constant. These figures are in the forms of my memories and experiences, reborn by the present consciousness and inspiration and visually borrow concrete shapes. The implication of the process sticks to abstract elements. The process from ‘experience and memory through inspiration and materials to visual image’ is the work of visualizing the present from my past and consists of the elements of binary opposition that return the present view to the memory at the same time. This is visually not moving but it is an expression of my big movement, which means the form in which the image moves through an individual’s experiences and memories even when it is stationary.

3. Incomplete crack and complete consciousness – Cracks, deep and shallow: My materials are made up of a variety of elements. My materials, which are composed of many elements such as heat, combination, and solvent, as well as four fundamental materials, develop ‘incompleteness’ of cracks during the ‘aggregation’ process. This also implies that my subjective memory is incomplete. The experience cannot provide a complete picture of the mental operation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Thus, I continuously paint over on the cracks in layers to compensate for the actual properties of the materials and the incompleteness of the memory. This repetitive act is my visual practice of increasing the substantive rigidity of the materials by adding complete media to the incomplete cracks and complete preconscious and unconscious (subconscious) without self-consciousness.

4. Incomplete crack and complete consciousness – Abstract matière: Abstract matière is to me, beyond a medium, an objet that my identity and visually moves me in the past to ‘me’ in the present. This realizes a temporal movement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and spatial movements, e.g. between Korea and the U.S., which may be a content with which many people who lead a nomadic life sympathize. It is difficult for me to completely recall memories and emotions in a specific area of my life because I have been unable to stay in one plac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s a result, I record things wherever and whenever I want to and move them to the canvas in their entirety in my own way.

 

  I usually record many things, such as the texture of the cracked soil on the sketchbook, the length of shadows, weather, the color palette of the sky, and the most impressive scene when I look back on the day. The dripping paint represents the rainy weather or someone who has shed tears. Cracks, large and small express the cracks on concrete in Brooklyn I was treading on one day or express the wrinkles of parents who have grown old. Like this, a matière in which multiple expressions are combined represents all my past and life. Because the recorded contents are highly subjective and resemble a diary, the products moved on the canvas have ancient mural-like characteristics. It is someone’s record with flat and narrative elements. These subjective experiences remind a third party of his or her subjective memory, and through this process, the artist and the audience are connected through the work. Hopefully, third parties who see my work would have an abstract experience that allows them to look into their lives rather than direct visual beauty.

  The “Untitled: Black Path” series is an attempt to be concerned about and project what the ego is, which is fundamental to oneself. The black background represents one’s self from childhood right through to the present. The semiotic figure, made up of my unique matière stands for the ‘record’ of my subjective and individual experience, while cracks on the figure and layers on layers represent the visual form of my inner consciousness. “Untitled: Black Road,” which visualizes my own private and subjective experiences, becomes a transformational interpretation by individual audience’s experience, and its subjective visual preservation would be done in their consciousness in the future. This is an act that conveys my subject to their incomplete memories, and I believe that this process completes an ‘aggregate’ in a crack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 and a person (the audience). When the other sees my work for the first time, it is both the completion of the work and a new beginning, and the ‘aggregate’ will continue to be made and changed by the background, time, space, consciousness, and relationship.

  As in my working process, for an individual to construct consciousness, all elements of daily life are combined, and the combined consciousness is visualized and expressed. Nonetheless, the audience becomes the subject when he or she visualizes the other, which is one’s own ‘consciousness.’ And yet, an individual’s consciousness in the relationships of repetitive daily life and reiterated aggregates (background, time, space, consciousness, and relationship) inevitably loses its independence. My current work aims to act as a catalyst that can promote the subjective consciousness of all individuals, including the audience, and I intend to continue conveying such discourse through various ways in the future.

본인의 작업 중 ‘무제’ 시리즈는 검정색의 배경, 기호적인 도형, 깊고 얕은 균열과 물감의 흐름, 크고 다른 여러 겹의 층들로 이루어진 작업이다.

작업의 검정 배경은 본인의 자아를 뜻하는 동시에 관람자의 눈을 감기는 직접적인 시각적 행위이다.

 

1.존재의 시각화 – 검정 배경: 배경의 주를 이루고 있는 색인 검정색은 동양의 ‘먹’인 검정과 서양의 ‘블랙 젯소’인 검정의 합이다.

‘먹’으로서의 주체적인 요소와 ‘블랙 젯소’로서의 기초적이며 근본적인 요소의 결합물은 본인의 자아를 나타낸다. 나아가 본인 뿐 아니라, 오늘날 다양한 사회에 필연적으로 적응하며 존재해야 하는 개체의 존재론적 미학 속에 우리 모두를 포괄하기도 한다.

2.시간과 공간 - 기호적인 도형: 작업안의 띠나 기호적인 도형은 본인에게는 누구에게나 공평한 공간(경험) 및 불변한 시간(기억)인 ‘시공간’을 의미한다. 이 도형들은 본인의 과거 기억과 경험이 현재의 의식과 영감에 의해 재탄생 된 형태이며, 시각적으로는 구상적 형태를 차용하며 그 과정의

함의(含意)는 추상적인 요소를 고수한다. ‘경험, 기억→ 영감 → 재료 → 시각적 이미지’의 과정은 본인의 과거에서 현재를 시각화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현재의 시각을 과거의 기억으로 되돌리는 이원대립적인 요소이다. 이것은 시각적 부동이나 본인의 큰 운동적 표현이며, 이미지가 멈춰 있어도 개개인의 경험과 기억을 통해 이미지가 운동 되는 형태를 뜻한다.

3.불완전한 균열과 완전한 의식 – 깊고 얕은 균열과 물감의 흐름: 본인의 재료는 많은 요소의 합이다. 4원의 근본 물질을 포함한 열, 결합, 용매 등 많은 요소에 의해 만들어진 본인의 재료들은 ‘합’의 과정에서 흐르면서 생기는 물감의 ‘불완전성’과 균열의 ‘불완전성’을 지니게 된다. 이는 주관적 기억의 불완전성을 뜻하기도 한다. 개체가 체험하는 정신작용 속에서의 경험은 완전할 수 없다. 따라서 본인은 실질적 재료의 특성과 기억의 불완전성을 보완하기 위해, 균열들 위에 여러 겹으로 지속적인 덧칠을 한다. 이 반복적인 행위는 불완전한 균열 속에 완전한 매제를 더함으로써 재료의 실질적 견고함을 더하고, 자각 없는 의식(전의식(前意識)·무의식(無意識: 잠재의식))을 완전하게 만들고자 하는 본인의 시각적 실천이다.

4.불완전한 균열과 완전한 의식 - 추상적 마티에르(matière): 추상적 마티에르는 본인에게 미디움을 넘어 본인의 정체성이 담기고 과거의 본인을 현재에 ‘나’에게 시각적으로 이동시키는 오브제이다. 이는 과거와 현재의 시간적 운동과, 한국과 미국 등 공간적 운동을 실현시키며, 유목 생활을 하는 많은 이에게 공감이 가는 내용일 것이다. 한 곳에 오랜 기간을 머물 수 없던 나의 일생은 특정지역 에서만의 기억과 감정을 온전히 불러오기 어렵다. 때문에 본인은 어디서든 기록하고 싶은 순간에 기록하고 본인만의 방법으로 캔버스에 온전히 옮긴다.

‘무제’ 시리즈는 본인에게 근본적 이고(ego)란 무엇인지 고민하고 투영하려는 시도이다. 검정 배경은 본인의 유년 시절부터 현재까지의 자아를 뜻하며, 본인 고유의 마티에르로 이루어진 기호적인 도형은 본인의 주관적이고 개성적인 경험의 ‘기록’을 표방하며, 그 도형 위에 있는 균열과 겹겹의 층들은 본인의 내면 의식의 시각적인 형태이다. 본인의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경험을 시각화한 ‘무제’ 작업은 관람자들의 각각의 경험에 의한 변형적 해석이 되고 훗날 그들의 의식 속에 주관적인 시각적 저장이 이루어진다. 이는 그들의 불완전한 기억 속에 서 본인의 주체를 전달하는 행위이며, 본인은 이 과정이 나와 사람(수용자) 관계의 균열 속 ‘합’을 완성한다고 믿는다. 타자가 본인의 작업을 처음 대면하는 시점은 작업의 마무리인 동시에 새로운 시작이 되며, 그 ‘합’은 배경, 시간, 공간, 의식, 관계에 의해 지속해서 만들어지고 변화할 것이다.

 

본인은 주로 스케치북에 갈라진 땅의 텍스처, 그림자의 길이, 날씨, 하늘의 색 팔레트, 하루를 돌아봤을 때 가장 인상적인 장면 등 많은 것들을 기록한다. 흘러내리는 물감은 비가 내리던 날씨로부터 영감을 받았지만, 눈물을 흘리는 모습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크고 작은 균열들은 어느 날에 밟고 서 있던 갈라진 콘크리트를 표현하기도 하고, 어느새 늙어버린 부모의 주름을 표현하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의 합(合)인 마티에르는 본인의 경험과 감정 대부분을 시각화한다. 기록한 내용들은 일기와 같은 성격으로써 캔버스에 옮겨진 결과물은 흡사 고대 벽화와 같은 특징(누군가의 평면적 기록이자 내러티브(narrative)한 성격)을 가진다. 주관적인 이 경험들은 제3자로 하여금 각자의 개인적인 기억을 상기시키고, 직접적인 시각적 아름다움과 동시에 작품을 통해 본인을 들여다보게 되는 추상적 경험을 하게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작가와 관람자는 작품을 통해 연결되고, 새로운 ‘합’이 완성된다고 믿는다.  

 

본인의 작업 과정과 같이, 개인이 의식을 구성하기 위해선 일상의 모든 요소가 합해지며, 결합된 의식은 시각화(visualize)되어 표출된다.

수용자는 타자를 시각화 할 때 주체가 되는 것은 자신만의 고유한 ‘의식’이다. 본인의 작업은 관람자를 포함한 모든 개인의 주체적 의식을 고양할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담론은 여러 방식을 통해 이후에도 지속해서 전달해보려 한다.

bottom of page